1)집합과 명제
1집합
A.집합의 뜻과 관계
- 집합의 정의와 표현
- 집합의 개수에 따른 집합의 분류
- *복잡한 조건제시법을 읽는 방법(심화)
- 부분집합과 서로소
- 차집합과 여집합의 성질 1
- 차집합과 여집합의 성질 2
- 집합의 연산을 이용한 미지수 구하기
B.집합의 연산
- 집합의연산법칙
- 집합의연산과 부분집합의 개수
- 벤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집합의 연산
- 교집합을 알때 집합의 원소 구하기
- 교집합,합집합을 알때의 가능한 집합 A의 개수
- 집합의 연산1 - 기본적인 연산
- 집합의 연산법칙을 이용한 증명 (중요!)
- 집합의 연산법칙을 이용한 문제해결(중요!)
C.유한집합의 원소의 개수
2명제
A.명제
- 명제의참거짓과 부정
- 부정에 관한 자세한 얘기
- 조건 명제의 진리집합에 관한 얘기
- 명제의 참과 거짓의 구별
- 집합과 명제 그리고 참과 거짓
- 명제와 부등식의 포함 관계
- 모든과 어떤이 들어간 명제
- 명제의 역 이 대우
- 삼단논법-개념수업
- 필요충분조건
- 필요충분조건-어려운 문제 풀이
B.명제의 증명
2)함수
1함수
A.함수
B.합성함수
C.역함수
- 역함수의 개념과 표현
- 역함수의 뜻
- 역함수의 성질
- 역함수의 식 구하기
- 역함수의 그래프
- 역함수의 존재 가능성 판별하기(가로선 그리기)
- 역함수와 합성함수, 함숫값 구하기
- *g(5x)의 역함수 구하기
2유리함수와무리함수
A.유리식
B.유리함수
C.무리식
D.무리함수
- 무리함수의 그래프 그리는 법과 최대 최소
- 무리함수 그래프의 평행이동
- 무리함수의 그래프 보면서 식 찾기
- 무리함수의 역함수
- 무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관계
- 무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관계 - 내분점과 근계수관계 관련
- 정리하면 원의 방정식이 되는 무리함수, 공통외접선-공통내접선 이용하기
- 무리함수의 그래프와 직선의 위치관계 - k에 값에 따른 교점의 개수
- 무리함수의 합성함수와 역함수
- *무리식의 계산 응용 - 원과 삼각형
1)순열과조합
1. 순열
A. 경우의 수
B. 순열 P
- 순열을 이용한 정수의 개수
- 이웃하여 일렬로 세우기
- 이웃하지 않게 세우기, 교대로 세우기
- 자리정해주고 줄 세우기, '적어도'가 들어간 줄 세우기, 특정 문자 사이에 들어가게 세우기
- 사전식 배열
- P라는 기호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법 - 순열의 개념과 계산
- *특강:nP0가 1인 이유 그리고 0!이 1인 이유
2.조합
A. 조합 C
- 조합의개념,기본증명
- 제한 조건이 있을때 조합의 수- 적어도,꼭뽑아
- 제한 조건이 있을때 조합의수- 뽑아서 배열하는 방법의 수
- 제한 조건이 있을 때 조합의수- 도형의 개수 세기,직선,삼각형
- 제한 조건이 있을 때 조합의 수 - 도형의 개수 세기,사각형
B. 분할